쌀나방 퇴치법과 쌀벌레 화랑곡나방 없애는 방법

며칠 전부터 주방에 쌀나방이 날아다닙니다. 어디에 쌀나방이 생겼을까 찾다가 얼마전 고향집에서 가져온 쌀부대를 열어보니 속비닐안에 쌀나방 두세 마리가 돌아다니는 것이 보입니다. 작년 여름에도 쌀나방 때문에 고생을 했었는데 방심하고 있다가 올 여름에도 쌀나방이 또 생겼습니다.

쌀에 생긴 쌀나방 퇴치하는 방법 4가지

쌀나방 퇴치법은 첫째, 가장 먼저 쌀나방이 생기는 장소를 찾아 없애야 합니다. 쌀나방이라 불리는 화랑곡나방은 쌀, 보리,콩, 팥, 옥수수 등 주로 곡물에서 발생합니다. 그리고 잡식성이라 말린 고추, 고춧가루, 참깨 뿐만 아니라 애벌레는 과자 포장지와 라면 비닐 봉지까지 뚫고 들어갈 수 있습니다.

쌀나방 퇴치법

쌀나방이나 쌀벌레가 생긴 쌀은 일단 서늘한 곳에 펼쳐서 쌀벌레가 기어나오고 쌀나방이 날아가도록 합니다. 이때 방 안으로 쌀벌레나 쌀나방이 다시 들어오지 않도록 문이나 창문을 잘 닫아야 합니다. 벌레먹은 쌀을 햇볕에 오래 말리면 쌀알이 부서지기 때문에 가능하면 그늘에 말려야 합니다.

쌀나방 애벌레가 생긴 쌀은 밀폐용기에 담아 냉동실

쌀나방 유충들은 시간이 지나면 자신의 몸 주위에 쌀알을 둘러싸 얽어매고 고치를 만든 다음 번데기가 됩니다. 따라서 쌀이 뭉쳐있는 것을 찾아 쌀나방 번데기까지 제거해야 합니다. 쌀을 비닐봉지나 김치통에 담아 냉동실에 하루 정도 넣어두면 번데기도 모두 얼어죽습니다.

둘째, 쌀나방들이 교미를 해서 알을 낳지 못하도록  최대한 빨리 막아야 합니다. 화랑곡나방은 짝짓기 후 하루나 이틀 뒤에 200여개의 알을 낳는데 그대로 방치하면 집안 여기저기에서 애벌레가 기어다니고 쌀나방이 날아다니는 것을 보게 됩니다.

쌀나방 없애는 방법

미처 찾아내지 못한 쌀나방들은 화랑곡나방 트랩을 설치해서 잡아야 합니다. 화랑곡나방은 어두운 곳을 좋아하며 밤 9시부터 밤 11시까지 활동이 가장 활발하기 때문에 화랑곡나방 트랩을 설치한 후 방문을 닫고 아침까지 출입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셋째, 쌀나방이 집안에 날아다니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곡물을 보관할 때 비닐이나 종이 박스가 아니라 밀폐 용기에 보관해야 합니다. 쌀이나 잡곡은 쌀부대 채 그냥 두지 말고 쌀항아리에 보관하고 양이 적은 경우에는 페트병이나 플라스틱 용기에 담습니다.

쌀벌레 퇴치 방법

넷째, 쌀벌레나 쌀나방이 싫어하는 기피제를 넣어 없애는 방법은 쌀항아리나 밀폐용기안에 마늘이나 겨자를 넣어둡니다. 2014년 농업진흥청 연구에 따르면 쌀바구미와 같은 쌀벌레, 쌀나방은 밀폐된 용기안에 소독용 알코올이나 알코올 함량 30% 이상인 술을 적신 솜을 넣어두면 5일 후에 쌀벌레 성충은 물론 유충까지 모두 박멸이 된다고 합니다.

쌀바구미가 먹은 쌀에는 발암물질이?

쌀벌레가 먹은 쌀은 냄새가 나거나 색이 변한 것이 아니라면 먹어도 문제가 없습니다. 단, 쌀바구미의 경우 발암물질인 퀴논을 분비한다고 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쌀벌레는 영양소가 많이 들어있는 쌀눈(배아)를 가장 먼저 먹어치우기 때문에 밥을 해서 먹으면 영양가도 없고 맛도 떨어집니다.

쌀벌레가 먹은 쌀이 많은 경우 가족들 먹는 밥을 하기에는 좀 그렇고 그냥 버리기도 아깝고 일반 가정에서는 보통 떡을 해서 먹기도 합니다. 쌀벌레가 먹은 쌀에 갈색이나 연한 노란색 가루가 많이 보인다면 쌀벌레가 싼 배설물이므로 체로 한번 걸러준 다음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